본문 바로가기

생각해보기5

이탈리아의 ChatGPT, 배양육 금지. 신기술로부터 국민을 보호할 수 있을까요? 이탈리아 정보 보호 당국은 최근 ChatGPT 사용을 일시적으로 금지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그 이유는 챗지피티의 개인정보 보호 및 보안 문제때문입니다. ChatGPT는 미국 스타트업 기업인 OpenAI가 개발한 대화형 인공지능(AI) 챗봇으로, 이용자가 챗봇에 질문을 입력하면 사람처럼 자연스러운 답변을 내놓거나, 다양한 글쓰기 작법을 구사하기도 합니다. ​ 그러나 이 프로그램의 이용자들의 대화 내용과 일부 금융 정보가 9시간이나 노출되는 사이버 보안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이탈리아의 정보 보호 기관인 '가란테'는 ChatGPT가 이용자들의 나이를 확인하지 않고, 챗봇을 훈련한다는 이유로 아무런 법적 근거 없이 방대한 양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저장한다고 지적하였습니다. ​ 이에 따라, 이탈리.. 2023. 4. 6.
교황의 패딩, 트럼프 체포... 딥페이크 기술을 사용하는 인간의 윤리적 고찰 최근 인공지능 기술인 딥페이크를 활용해 만들어진 가짜 이미지가 올라오고 있습니다.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경찰에 체포되는 가짜 이미지나 패딩 입은 교황 사진 등이 SNS를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는데요. 잘 모르는 사람들은 진짜로 트럼프 전 대통령이 구속된 줄 알았다던가, 교황님의 패딩의 브랜드를 묻는 등 가짜 정보로 인한 혼란이 생기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러한 문제는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과 함께 새로운 윤리적 문제들을 제기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 . 딥페이크 기술은 인공지능 기술을 사용하여 영상이나 음성 등을 조작하여 진짜처럼 보이거나 들리게 만드는 기술입니다. 이러한 기술이 남용될 경우, 다음과 같은 부정적인 효과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1) 정보의 신뢰도 하락: 딥페이크 기술로 제작된 영상이나 .. 2023. 3. 30.
챗GPT가 탑재된 '빙'은 '구글'을 뛰어넘을 수 있을까요? '빙'의 국내이용자가 7배나 뛰었다고 합니다. ​ 최근에 ChatGPT 기술이 적용된 마이크로소프트(MS)의 검색엔진 '빙'이 국내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것 같습니다. ​ 아이지에이웍스의 빅데이터 분석 솔루션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빙 모바일 앱의 구글 플레이스토어 일간 활성 이용자는 집계가 시작된 지난 4일 749명에서 약 2주 뒤인 지난 22일 5천274명으로 7배 넘게 증가했습니다. 블로그와 커뮤니티 등에서 입소문을 타며 사용자 수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4분기 국내 검색엔진 유입률(검색 점유율)은 네이버가 62.81%, 구글이 31.41%, 다음이 5.14%인 반면 빙은 '기타'(0.23%)에 속해 존재감이 없었습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빙 모바일 앱의 이용자 수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 그 이유는 빙 앱이 오픈AI의 AI 챗봇 .. 2023. 3. 27.
3월에 벌써 25도? 116년만의 고온현상, 기후변화에 대해 생각해 볼까요 안녕하세요! 오늘은 기온이 너무 높아서 봄이 아닌 초여름 날씨같네요!. ​ 이러한 고온현상의 이유는, 서울을 비롯한 전국적으로 이번 주 초부터 따뜻한 남동풍이 산맥을 넘어와 중서부 지방을 데우면서 기온이 높아졌기 때문인데요. 서울의 기온은 25.1도까지 올라서, 3월 기상 관측 이래로는 처음으로 25도를 넘어선 일이 발생하였습니다. 기상관측이 116년전 처음으로 이루어졌으니 그 이전에 이러한 고온현상이 있었는지는 알 수 없지만, 확실한건 이례적인 고온 현상이라는 건데요! 강원 영월에서도 27.6도, 동두천에서는 26.4도 등 곳곳에서 신기록을 세우며 전국적으로 이례적인 고온현상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 경기와 충남 지역에서는 여름철 불청객인 오존주의보가 3월로는 사상 처음으로 발령되었습니다. 이번 이례적.. 2023. 3. 23.
챗GPT는 정말 재앙을 불러올까? AI의 개발과 AI윤리에 대해 생각해보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챗 GPT에 대해서 생각해보고자 합니다! 요즘 너무 핫한 주제라서 여러 사람들이 다양한 의견을 내고 있는데요, 저는 챗 GPT개발으로 인해 발생할 여러 윤리적인 내용에 대해서 생각해보고자 합니다. ​ ​ 먼저 챗 GPT에 대해 설명해야겠죠? 챗 GPT는 OpenAI에서 개발한 대화형 인공지능 기술로, 딥러닝 기술 중 하나인 GPT (Generative Pre-trained Transformer)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합니다. 이 기술은 자연어 처리 분야에서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대화형 AI 기술의 발전에 큰 역할을 합니다. ​ 챗 GPT는 대화형 인공지능 모델로서, 사용자와 대화하면서 의미 있는 답변을 생성합니다. 이를 위해 챗 GPT는 기계학습을 사용하여 대화 데이터를 학.. 2023. 3.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