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에 ChatGPT 기술이 적용된 마이크로소프트(MS)의 검색엔진 '빙'이 국내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것 같습니다.
아이지에이웍스의 빅데이터 분석 솔루션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빙 모바일 앱의 구글 플레이스토어 일간 활성 이용자는 집계가 시작된 지난 4일 749명에서 약 2주 뒤인 지난 22일 5천274명으로 7배 넘게 증가했습니다. 블로그와 커뮤니티 등에서 입소문을 타며 사용자 수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4분기 국내 검색엔진 유입률(검색 점유율)은 네이버가 62.81%, 구글이 31.41%, 다음이 5.14%인 반면 빙은 '기타'(0.23%)에 속해 존재감이 없었습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빙 모바일 앱의 이용자 수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그 이유는 빙 앱이 오픈AI의 AI 챗봇 기술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 기술은 챗GPT4를 기반으로 한 대화형 AI 기술을 탑재한 버전이라고 알려져있습니다. MS의 빙은 다른 포털에 비해 이용자 수는 아직 적지만, 앞으로 더 많은 사용자들이 이용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2010년대 이후 국내 검색 시장에서는 네이버, 구글, 카카오 '다음'이 3대를 이뤄왔지만, 이번 기술 개발과 성장을 바탕으로 국내 검색 시장에서 '빅3'의 아성을'빙'이 탈환할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MS의 '빙'이 기존 검색엔진의 완벽한 대체제가 될까요? 한국에서도 대다수 연령대의 사람들은 인터넷이라는 공간의 탄생과 성장과정을 거쳐왔었지요. 우리들은 하이텔 나우누리를 거쳐, 야후코리아, 라이코스, 그리고 다음, 네이버, 구글이 각각 국내 점유율을 독차지하며 예전 검색엔진은 쓸쓸하게 뒤로 물러나는 모습을 직접 목격했습니다. 소셜미디어에서는 어떤가요? 버디버디, 싸이월드가 강세였던 한국도 이제는 페이스북, 인스타, 카카오톡을 즐겨 사용하죠. 사람들은 더 나은서비스가 나오면 주저없이 기존의 서비스를 버리고 갑니다.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세요? ChatGPT같은 대화형 AI가 우리 일상을 바꾸게 될까요? ChatGPT가 구글보다 많이 쓰이게 된다면 우리 삶은 어떻게 달라질까요?
'생각해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탈리아의 ChatGPT, 배양육 금지. 신기술로부터 국민을 보호할 수 있을까요? (0) | 2023.04.06 |
---|---|
교황의 패딩, 트럼프 체포... 딥페이크 기술을 사용하는 인간의 윤리적 고찰 (0) | 2023.03.30 |
3월에 벌써 25도? 116년만의 고온현상, 기후변화에 대해 생각해 볼까요 (0) | 2023.03.23 |
챗GPT는 정말 재앙을 불러올까? AI의 개발과 AI윤리에 대해 생각해보기 (0) | 2023.03.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