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ature4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이 초고온 외계 행성 대기에서 물을 발견했습니다.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이 WASP-18 b라는 초고온 외계 행성 대기에서 물을 발견했습니다. WASP-18 b의 대기는 섭씨 약 2700도에 이릅니다. 이 행성은 하루 이하의 시간 안에 별 주위를 공전하는 초거대 가스 행성입니다. WASP-18 b는 태양계에서 가장 큰 행성인 목성보다 10배 더 무거운데요. 이 행성은 태양과 비슷한 성질을 가진 WASP-18라는 항성으로부터 약 400 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으며, 평균 거리는 약 310만 킬로미터입니다. 비교하자면, 태양에서 가장 가까운 행성인 수성은 태양에서 약 6340만 킬로미터 거리에서 태양을 공전합니다. 모항성에 근접한 거리로 인해 WASP-18 b의 대기 온도는 대부분의 수분 분자가 분해되는 정도로 높아진다고 NASA는 발표했습니다. 웹 .. 2023. 6. 8.
제임스 웹이 혜성의 주변에서 물을 발견했습니다. 이는 지구의 물이 혜성에서 왔을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JWST)이 태양계 소행성대의 혜성 238P/Read 주변에서 물을 발견했습니다. 이 발견은 지구의 물이 어디서부터 왔는가를 밝히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이번 관측은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JWST)의 정밀한 분광 데이터로 이루어졌는데요. 이번 발견은 초기 태양계에서 물이 소행성대에서 얼음으로 보존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실입니다. 이번 238P/Read 혜성 주변에서의 수증기 발견은 지구의 생명활동에 필수적인 물이 혜성을 통해 운반되었을 수 있다는 이론을 크게 뒷받침합니다. 하지만 이산화탄소가 혜성 238P/Read 주변에서 관측되지 않았다는 점이 수수께끼인데요. 혜성 238P/Read 주변의 이산화탄소 부족은 수증기의 발견보다 연구팀에게 더 놀라운 일이었다는데요... 2023. 5. 30.
뇌에서 상상한 이미지, AI가 해독 가능할까요? EPFL에서 개발한 CEBRA 인공지능(AI)으로 뇌 신호를 읽어 영상으로 변환해주는 기술이 발전하고 있습니다. 스위스 로잔 공과대학(EPFL) 연구진은 쥐의 뇌 신호를 실시간으로 해석하여 쥐가 보고 있는 비디오를 AI 도구로 재현하는 기술을 개발하였습니다. 이를 위해 전극 탐침을 사용하여 쥐의 뇌 활동을 측정하고, 학습된 AI 모델을 사용하여 뇌 신호를 비디오의 특정 프레임에 매핑하였습니다. 새로운 쥐에게 동일한 비디오를 시청시키면서 뇌 활동을 측정하고 예측한 프레임을 영상으로 변환한 결과, 재구성된 영상이 약간의 결함은 있었지만 원본 영상과 거의 일치하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 EPFL에서 개발한 새로운 알고리즘인 CEBRA은 CEBRA는 수학에 근간을 두고 있는 기계 학습 알고리즘으로, 뇌 신호에서 숨겨진 구조를 학습합니다. .. 2023. 5. 8.
제임스웹 망원경이 소마젤란은하의 젊은 성운지역에서 행성물질을 발견했습니다. ​ 최근, 세계적인 학술지인 네이처 천문학(Nature Astronomy)에서 발표된 논문 소식입니다. 우리은하와 가까이 있는 소마젤란은하를 제임스웹 망원경이 관측했는데요. 소마젤란은하는 태양보다 훨씬 젊은 별이 많은 성운인 'NGC 346'이 있습니다. NGC 346은 밀도가 낮고 부분적으로 이온화된 성간물질이 수백광년에 걸쳐 퍼져있는 거대한 영역인 '전리수소영역'인데요. 여기서 대량의 행성물질을 발견했다고 합니다. 이로서 별의 형성과정과 우주가 탄생하면서 어떤일이 일어났는 지 밝혀낼 수 있을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 영국의 올리버 존스 박사가 이끄는 영국 왕립천문대 천문기술센터의 연구진들은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JWST)을 이용해, 우리 태양보다 작고 어린 수백 개의 젊은 별 주변에 금속 원소가 .. 2023. 4.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