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랙홀7 우리은하 중심의 거대 블랙홀로부터 뻗어나오는 신비로운 실 형태 구조 우리 은하계의 중심에 위치한 거대한 블랙홀에서 백개 이상의 가스 실이 외부로 뻗어나가는 것이 확인되었습니다. 이 실들은 각각 5~10 광년 길이로 은하 중심을 따라 외부로 향하고 있는데요. 남아프리카의 MeerKAT 망원경이 실시한 방사선 관측을 통해 확인되었습니다. 노스웨스턴 대학의 Farhad Yusef-Zadeh 교수는 "블랙홀의 방향으로 가리키는 구조의 새로운 집단을 발견한 것에 대해 놀라웠습니다. 이러한 실들은 무작위적이지 않고 우리 블랙홀의 측류와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라고 말했습니다. 1984년에 Farhad Yusef-Zadeh 교수는 은하수 중심에 위치한 우리 은하계의 블랙홀인 궁수자리 A* 근처에서 수직으로 매달린 거대하고 얇은 자기 실들을 발견했습니다. 그러나 모스 부호의 .. 2023. 6. 7. 시공간의 뒤틀림 현상, 끈이론을 설명할 수 있을까요? 최근 발표된 논문에 따르면, 시공간의 뒤틀림을 나타내는 이론상 개념인 '위상 꼬임(topological solitons)'이 실제로 블랙홀과 유사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밝혀냈습니다. 이러한 발견은 양자 물리학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한층 발전시킬 수 있다고 합니다. 이 연구는 4월 25일에 Physical Review D라는 학술지에 발표되었습니다. 블랙홀은 과학사에서 가장 당혹스러운 물체 중 하나입니다. 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은 블랙홀의 존재를 예측하며, 천문학자들은 그 형성 방법을 알고 있습니다. 대질량 별이 자체 중력에 의해 붕괴되기만 하면 블랙홀이 형성됩니다. 다른 저항력이 없기 때문에 중력은 모든 별의 물질이 무한히 작은 점으로 압축될 때까지 계속해서 당기게 됩니다. 그 점을 특.. 2023. 6. 5. 지구를 향하는 100개의 블랙홀 제트, 새로운 물리학 실험실이 되다 새로발견된 100개의 초대질량 블랙홀이 지구로 향하는 방사선과 물질의 폭발적인 제트를 내뿜는게 관측되었는데요. 천문학자들은 극한 물리학 실험실로 이들 블랙홀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블랙홀들은 "블레이저"(Blazar)라는 별명을 가지게 되었는데, 이는 그들이 우주의 매우 높은 에너지로 입자가 어떻게 행동하는지 이해하기 위한 완벽한 환경을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펜실베이니아 주립 대학교의 고에너지 천문학 그룹 리더인 에이브 팔콘은 "블레이저들은 상대적으로 먼 거리에서 보여지는 특성 때문에 우주의 초거대 블랙홀들에 대한 질문들에 대한 답을 찾을 수 있는 매우 흥미로운 대상입니다"라고 5월 10일의 성명에서 말했습니다. 블레이저는 초거대 블랙홀 주변에 있는 일부 물질이 표면으로 떨어지지 않고 광속에 가까운.. 2023. 6. 5. 현재까지 관측된 우주에서 가장 큰 폭발! AT2021lwx 현재까지 관측된 우주에서 가장 큰 폭발이 발견되었는데요. 이 폭발은 세 번에 걸쳐 총 3년 동안 계속되었으며, 지금까지 알려진 어떤 초신성보다도 10배 이상 더 강력한 에너지를 방출했다고 합니다. 이 폭발 사건인 AT2021lwx는 초신성보다도 10배나 더 밝았으며, 초신성 폭발은 몇 달 동안 지속되는 반면, 이 폭발은 최소한 3년 동안 계속되었습니다. AT2021lwx는 TDE(조석 교란)으로 알려진, 초대형 블랙홀에 의해 별들이 파괴되고 흡수될 때 방출되는 빛의 3배나 더 밝습니다. 이 폭발은 지구로부터 약 80억 광년 떨어진 곳에서 발생했는데요. 이 폭발은 우주 탄생 후 60억 년후의 시기에 발생한 것으로 보입니다. AT2021lwx는 2020년에 캘리포니아에 위치한 "Zwicky Transient.. 2023. 5. 15. 별을 찢는 블랙홀을 지구 가까운 위치에서 발견 최근 천문학자들은 우리가 알고 있는 가장 가까운 위치에서 일어난 별을 삼키는 블랙홀의 사례를 발견했습니다. 오랜 시간 전, NGC 7392 은하 중앙에서 초대형 블랙홀이 별을 찢어놓은 것으로 추정되는 이 사건은 블랙홀의 별 흡수에서 생성된 빛이 2014년에 지구에 도달한 것입니다. 이번 연구 결과는 4월 28일 'The Astrophysical Journal Letters'에 게재되었습니다. 별이 블랙홀에 빨려들어가며 스파게티처럼 주욱 늘어지는 현상을 TDE(Tidal Disruption Event)라고 합니다. 우리나라말로는 조석 교란이라고도 하는데요. 이번 발견된 TDE는 NGC 7392 은하 중앙에서 일어난 것으로, 이곳은 지구로부터 약 1억 3,700만 광년 떨어진 곳입니다. 이것은 태양에 가.. 2023. 5. 8. 우주 초창기의 작은 원시 블랙홀은 자신만의 빅뱅을 만들 수 있습니다 우리가 지금까지 알고 있던 블랙홀의 생성 방법은 대량의 별이 죽으면서 만들어지는 것이었습니다. 이 죽는 과정에서 별의 핵은 자신의 중력으로 인해 무한히 작아지면서 블랙홀이 탄생합니다. 이 방식이 은하에 분포하는 보통의 블랙홀에서부터 은하 중심에 위치한 초대질량 블랙홀까지 모든 블랙홀의 시작점이라고 여겨져 왔습니다. 하지만 초기 우주는 혼돈스러우며 에너지가 매우 높았습니다. 특히 인플레이션 이벤트 후에는 우주가 극도로 불안정하고 에너지가 넘쳤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인플레이션이 끝나면, 우주는 놀라운 크기로 급격히 팽창하면서 공간-시간 자체가 진동하고 흔들렸습니다. 그당시 우주는 너무나 폭력적이어서 어떤 구역이든 공간-시간의 밀도와 크기가 임계치에 도달하여 "원시" 블랙홀을 형성할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작.. 2023. 5. 5. 강력한 제트분출을 일으키는 블랙홀을 직접적으로 촬영한 최초의 사진! 4월 27일 오늘 발표된 사진이 화제입니다. 이번 사진은 블랙홀 주변의 부착원반과 제트 분출까지 관측한 것으로는 세계 최초의 이미지인데요. 미국과 일본, 한국 등 17개국 연구팀이 지구에서 5천400만 광년 떨어진 M87 은하 중심부의 초대 질량 블랙홀에서 물질이 빨려들며 형성된 고리 모양 '부착 원반(accretion disc)과 강력한 분출 제트를 처음으로 동시에 관측했다고 합니다. 이번 연구결과는 세계적인 과학 학술지 '네이쳐'에 발표되었습니다. 한국천문연구원과 경북대 등을 포함해 17개국 64개 연구기관, 121명의 연구자가 참여한 이번 연구에서 발표된 내용은 초대 질량 블랙홀 주위 영역을 포착한 이미지로 나타낼 수 있는데요. 블랙홀에 물질이 빨려드는 부착 흐름 영역을 담은 것으로 블랙홀에 .. 2023. 4. 27.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