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에 구글에서 대화형 인공지능인 '바드(BART)'를 전 세계 180여개국에 공개했고, 한국어도 지원한다는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바드는 구글의 최신 대규모 언어모델인 '팜2(Perceiver IO)'를 기반으로 개발되었는데요. 이 모델은 5300억개의 파라미터를 가지고 있으며, 100개 이상의 언어를 지원합니다. 더불어 과학과 수학 추론 능력에 더해 20여개의 개발 언어로 코딩 작업도 가능합니다. 한국어와 일본어를 포함한 다양한 언어를 지원하는 바드는 앞으로 40여개 언어로 서비스 범위를 확장할 계획입니다.
구글이 한국어 대규모 언어모델에 관심을 기울이면서 국내 빅테크 업계에서는 경쟁력 강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네이버, 카카오, KT 등 국내 기업들은 주도권을 내주지 않겠다는 목표로 한국어 언어모델의 개발과 상용화를 빠르게 추진하고 있습니다. 네이버는 한글 데이터를 6500배 더 학습한 초대규모 인공지능 '하이퍼클로바엑스'를 올해 여름에 선보일 예정이며, 카카오도 한국어 특화 언어모델 '코지피티'를 준비 중입니다.
구글 CEO인 순다르 피차이는 개발자 회의에서 한국어로 코드 오류를 수정하는 예시를 들며, 바드가 문제를 발견하면 한국어로 수정 대안을 제시하고 그 이유까지 설명할 수 있다고 소개했습니다. 또한, 구글은 마이크로소프트의 챗지피티(ChatGPT)를 빠르게 도입한 사례를 참고하여 구글 제품들에도 바드를 적극적으로 도입할 계획입니다.

이와 함께, 구글은 최근 개최한 I/O 연례 개발자 컨퍼런스에서 구글의 AI 챗봇 '바드'와 새로운 생성형 AI 검색 엔진의 ‘검색 생성 경험(Search Generative Experience)’으로 명명된 여러 기능 들을 소개했는데요. 이번에 소개된 새로운 구글 검색은 완전히 새로운 인터페이스로 제공된다고 합니다.
구글은 AI 기술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검색 의도를 이해하고, 해당 의도에 맞는 결과와 함께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특정 상품을 검색하면 해당 상품의 가격 비교, 사용자 리뷰, 유사 상품 추천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다른 예로는, '아이유'에 대해 검색했을 때 검색 결과 페이지에는 기존의 검색 결과 링크뿐만 아니라, 추가적인 정보와 추천이 함께 표시될텐데요. 왼쪽 상단에는 '아이유'에 대한 간단한 개요가 제공되고. 아이유의 프로필, 활동 내역, 주요 업적 등을 요약하여 보여줍니다. 더불어 오른쪽에는 아이유와 관련된 인기 노래, 앨범 목록, 음원 사이트 링크 등이 표시됩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즉시 아이유의 음악을 감상하거나 구매할 수 있습니다.
왼쪽 하단에는 아이유의 공식 소셜 미디어 계정, 공연 일정, 최신 소식 등이 제공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아이유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검색 결과 페이지에는 추가적인 카테고리별 탭이 있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음악', '영화', 'TV 출연' 등의 탭을 통해 사용자는 아이유의 다양한 활동 분야에 대한 정보를 자세히 탐색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가 특정한 관심사나 질문을 가지고 있을 경우, 검색 결과 페이지에서 바로 질문을 입력하여 바드와 대화형 AI 챗봇과 상호작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아이유의 최신 앨범은 무엇인가요?"라는 질문을 입력하면, 챗봇이 해당 질문에 대한 정확한 답변을 제시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변경은 사용자들이 보다 편리하고 정확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구글은 AI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검색 경험을 진화시키겠습니다.

이번 구글의 새로운 생성형 AI 검색 엔진은 사용자에게 더욱 풍부한 검색 결과와 함께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기존의 검색 결과에 추가되는 부가 정보와 추천은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더욱 쉽게 찾을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구글은 이번 개편에서 사용자의 질문과 요구에 대한 정확하고 자세한 답변을 제공할 계획이라고 하는데요. 사용자가 특정 질문을 입력하면 바드와 같은 대화형 AI가 해당 질문에 대한 답변을 제시하고 필요한 경우 추가적인 질문에도 답변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더욱 편리하고 맞춤화된 검색 경험을 할 수 있습니다.
더불어 구글은 또한 검색 결과에 표시되는 링크와 정보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악성 정보나 가짜 뉴스와 같은 부정확한 내용을 차단하고, 신뢰할 수 있는 출처와 검증된 정보를 우선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신뢰도를 높이고자 합니다.
구글 바드 베타버전 홈페이지 링크 :
'과학 뉴스 > 로봇,AI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그림에 이어 AI 3D모델링까지? OpenAI에서 공개한 Shap-E (0) | 2023.05.16 |
---|---|
메타, 생성형 AI인 'AI 샌드박스'로 마케팅에 혁신을 불러일으킬까? (0) | 2023.05.16 |
AI, 안과 질환 진단에서 전문의와 동등한 성능 발휘 (0) | 2023.05.11 |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 처리가능한 오픈소스 AI, 페이스북 회사인 메타(Meta)에서 공개 (0) | 2023.05.11 |
군 임무에 사용될 사족보행 로봇? 2023 국방기술포럼의 이야기 (0) | 2023.05.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