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D 프린팅에 대해서는 많이들 들어보셨죠? 3D프린팅 기술은 디지털 3D 모델링 데이터를 이용해 실제 객체를 만들어내는 고급 제조 기술입니다. 이 기술은 컴퓨터로 디자인한 3D 모델 데이터를 입력하면, 이를 레이어 단위로 재료를 쌓아올리며 실제 객체를 만들어냅니다. 3D 프린터는 특수 소재로 만들어진 재료를 사용하여 물건을 만드는데요, 이 재료는 플라스틱, 금속, 세라믹, 심지어는 음식물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사용되는 재료와 프린팅 기술에 따라 객체의 완성도와 내구성이 달라집니다. 3D 프린팅 기술이 국내에도 5년전 쯤 한창 유행해서 관련한 유튜버들도 많아지고 했었던게 기억이 납니다.

한편, 최근 미국의 신생 우주기업인 Relativity Space가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해 제작한 로켓 테란1을 발사했다는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Relativity Space는 개별 부품을 조립하는 대신 층층이 쌓아 만드는 3D 프린팅 방식을 사용하여 로켓을 제작한다고 합니다. 3D프린터로 로켓을 개발하는 기술은 금속 3D프린터 스타게이트에 인공지능 제어 시스템을 적용하여 이루어졌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발사는 회사가 발사체 성능을 검증하는 시험발사로 진행되었으며, 탑재물 없이 발사되었습니다.
Relativity Space의 테란1은 높이 35미터, 지름 2.3미터의 소형 2단 로켓으로, 1단에는 9개, 2단에는 1개의 엔진이 탑재되어 있습니다. 테란1은 전체의 85%를 3D프린팅으로 제작하여 주목을 받았습니다. 이 로켓은 액화천연가스와 액체 산소를 추진제로 사용하며, 추력이 20만7천파운드(94톤)으로 고도 500km의 지구 저궤도에 최대 1.25톤의 화물을 운송할 수 있습니다.
이번 발사에서는 이륙 4분 후 2단 로켓이 분리된 직후 엔진이 정지되며 목표 궤도에는 도달하지 못했습니다. 고도 200km의 목표 궤도 진입은 실패했지만, 이번 발사의 핵심 목표인 맥스큐(로켓이 받는 압력이 최고에 이르는 지점) 통과와 2단 로켓 분리는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다고 밝혔습니다.

Relativity Space는 이번 발사를 통해 자사의 3D 프린팅 기술을 입증하였습니다. 이를 기반으로 앞으로 전체의 95%를 3D 프린팅으로 만들어 부품 수는 기존 로켓의 100분의 1 수준인 1000개 미만으로 제작 기간은 2개월을 넘기지 않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 회사는 이미 미국항공우주국을 비롯한 통신위성 업체들과 위성 발사 계약을 맺고 있으며, 화성까지 갈 수 있는 로켓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과학 뉴스 > 우주과학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 NASA, 달 유인 탐사 임무 아르테미스2 미션과 승무원 공개! (0) | 2023.04.04 |
---|---|
미국 우주군 군사위성 Tranche 0, SpaceX에 의해 성공적으로 발사 (0) | 2023.04.03 |
운석에 충돌하여 파손된 우주선이 지구로 무사귀환! 러시아의 소유즈 MS-22의 지구 귀환 이야기 (0) | 2023.03.29 |
달에 핵 발전소를 설립하기 위한 의외의 협력사? 롤스로이스가 월면 기지를 위한 연구를 실행합니다. (0) | 2023.03.24 |
대한민국 최초 민간 우주발사체 한빛-TLV 발사 성공! (0) | 2023.03.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