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국립천문대와 교토대학교 공동 연구팀은 최근, 지구에서 약 400광년 떨어진 ‘오리온자리 V1355’ 항성 표면에서 천문학적으로 유례가 없는 초대형 홍염을 관측한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이번 연구는 항성의 대규모 폭발 현상 중 하나인 홍염의 특징과 발생 원인에 대한 이해를 더욱 증진시키는 중요한 연구 성과입니다.
홍염은 항성 표면에서 플레어라는 현상이 일어나면서 발생되는 대규모 가스 분출 현상을 말합니다. 이번에 관측된 ‘V1355’ 항성의 홍염은 태양 최대급 프로미넌스의 최소 100배 수준으로, 지구와 거리상으로도 매우 먼 곳에서 관측된 것이 특징입니다. 이번 연구에서는 일본 국립천문대의 구경 3.8m 세이메이 망원경과 미 항공우주국(NASA)의 외계 행성 탐사 위성 테스(TESS)를 활용해 ‘V1355’ 항성을 면밀하게 관찰하였습니다.

이번 홍염은 초당 약 1600km의 분출 속도로 항성에서 가스가 중력의 영향을 벗어나 탈출할 수 있는 최소 속도인 초당 약 350km/s보다 4배 넘게 빨랐다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이러한 분출 속도는 항성의 중력을 거의 무시하는 정도로 초고속으로 우주 공간에 방출된 것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NAOJ 관계자는 “이번 관측은 홍염이 항성의 중력권 밖까지 방출되는 상황을 처음으로 보여줬다”며 “홍염이 별의 진화와 주변 행성의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 데 있어 아주 중요한 자료”라고 의미를 부여했습니다. 이번 연구 결과는 홍염이 발생하는 원인과 성질을 더욱 잘 이해하고, 미래에 발생할 수 있는 대규모 폭발 현상에 대비하는 데 매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우주 이야기 > 우주 탐사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주 초창기의 작은 원시 블랙홀은 자신만의 빅뱅을 만들 수 있습니다 (1) | 2023.05.05 |
---|---|
별의 행성 포식 현상을 사상 처음으로 발견! 태양도 40억년 후에 지구를 집어삼킬 수 있다고 합니다. (0) | 2023.05.04 |
중국의 화성 탐사선 Zhurong이 모래 언덕에서 발견한 소금물의 증거! (0) | 2023.05.01 |
암흑 물질 발견을 위해 가동된 SuperBIT의 첫번째 이미지 공개! (0) | 2023.04.28 |
강력한 제트분출을 일으키는 블랙홀을 직접적으로 촬영한 최초의 사진! (0) | 2023.04.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