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의 달 탐사선 '다누리'가 오늘 4월 12일, 달 뒷면의 고해상도 사진을 촬영해왔습니다. 이 이미지들은 2023년 3월 22일과 24일에 치올콥스키 크레이터, 슈뢰딩거 계곡 및 실라드 엠 크레이터 지역에서 촬영되었으며 탑재된 고해상도 카메라 LUTI에 의해 포착되었습니다. 이러한 이미지는 분화구와 봉우리를 포함한 달 표면의 상세한 이미지로서 달 표면의 구성과 봉우리, 분화구의 형성 과정을 이해하고 달 지표의 구성성분을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됩니다.



또한 다누리는 LUTI의 고해상도 이미지 외에도 광시야편광카메라를 사용한 촬영 영상도 공개했는데요. 이는 달 표면 편광영상으로 파장, 편광 필터의 종류에 따라 밝기가 뚜렷하게 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달 표면의 입자 크기와 구성을 파악하고 달 표면의 입자 분포를 알아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다누리는 달 표면의 자기장과 감마선 스펙트럼을 연구하기 위해 자기장측정기와 감마선분광기를 사용하여 데이터도 획득 중인데요. 자기장 변화자료는 달의 구조 및 이상 자기장 영역 연구와 향후 달 탐사를 위한 우주환경 자료 제공에 활용할 계획이며, 감마선분광기 측정자료는 달 표면의 감마선, 엑스선, 중성자 환경 등의 연구에 활용될 예정입니다.
다누리를 이용한 달 과학 연구성과는 2024년 1월부터 공개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여기에는 고해상도카메라 LUTI의 촬영영상과 광시야편광카메라를 이용한 세계 최초의 달 전면 편광지도가 포함될 예정인데요. 더불어 자기장 분석자료와 달 표면 감마선 스펙트럼 자료도 포함해 공개할 것이라 합니다.
한편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다누리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달 궤도 상 다누리의 실시간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는데요.과학기술정보통신부 조선학 거대공공연구정책관은 “다누리가 달에서 순조롭게 관측 영상과 데이터를 보내오고 있다. 올해 관측 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달 과학연구 성과를 공개할 계획이니, 다누리의 임무 종료까지 국민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지지를 부탁드린다”고 밝혔습니다.
'우주 이야기 > 우주 탐사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임스웹 망원경이 소마젤란은하의 젊은 성운지역에서 행성물질을 발견했습니다. (0) | 2023.04.25 |
---|---|
목성 얼음위성 탐사선 JUICE, 성공적으로 출발! (0) | 2023.04.17 |
암흑물질과 외계 행성을 촬영할 차세대 우주망원경, 낸시 그레이스 로먼 우주망원경 (0) | 2023.04.12 |
달에서 사용될 차세대 월면차, FLEX! (0) | 2023.04.05 |
한국 최초의 달 탐사선, '다누리'를 아시나요? 다누리가 보내온 달과 지구의 사진! (0) | 2023.03.30 |
댓글